시차 출퇴근제가 아닌 다른 근무제 가이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매주 동일한 근무시간을 유지하는 방식
구성원 개개인별 지정된 근무 일정에 따라 근무하는 방식
사전 협의된 출근 가능 시간대에 자유롭게 출근하는 방식
1. 대시보드(PC) > 회사 설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2. [근무 정책] 탭을 선택합니다.
3. [근무제] 페이지에서 [시차 출퇴근제]를 선택합니다.
4. [새 근무 정책] 버튼을 선택합니다.
• [기본 / 임부 / 산부] : 어떤 유형의 구성원에게 적용할 지 선택합니다.
- 임부 : 한국 근로기준법에 따라 초과근무를 할 수 없습니다. 초과근무 정책 설정이 불가합니다.
- 기본 / 산부 : 초과근무 정책 설정이 가능하며, 계약 형태에 따라 통상/단시간 근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통상 근무 / 단시간 근무] : 선택에 따라 초과근무 자동 배정 기준이 달라집니다.
- 통상 근무 : 근무 스케줄 배정 시, 법정근로시간과 소정근로시간 중 더 긴 시간을 초과한 근무가 초과근무로 배정됩니다.
- 단시간 근무 : 근무 스케줄 배정 시,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한 근무가 초과근무로 배정됩니다.
• [근무 정책명]을 입력합니다. 이미 등록된 근무 정책명은 등록할 수 없습니다.
요일별 다른 소정 근무 일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입력된 소정 근무 일정 토대로 다음 달 말일 까지의 스케줄이 자동 배정 됩니다.
• 1주 소정근로시간 : 요일별 입력한 소정근로시간의 합계가 노출됩니다.
• 근무 요일 : 일주일 중 일하는 요일을 선택합니다. 근무 요일로 지정하지 않은 요일은 ‘휴무’로 자동 지정됩니다.
• 소정근로시간 : 근로자와 계약된 소정근로시간을 입력합니다.
• 출근 가능 시간대 : 출근 가능 시간대 중 가장 늦은 시간대로 다음 달 까지의 스케줄이 자동 배정되며, 매일 출근 기록한 시간으로 스케줄이 자동 업데이트 됩니다.
- 출근 가능 시간대에 출근한 경우, 출근한 시각으로 스케줄이 업데이트 됩니다.
- 출근 가능 시간대 이후에 출근한 경우, 가장 늦은 출근 가능 시각으로 스케줄이 업데이트 됩니다.
- 출근 가능 시간대 이전에 출근한 경우, 가장 빠른 출근 가능 시각으로 스케줄이 업데이트 됩니다. (출근 가능 시간대 이전에도 출근 허용되도록 근무 정책을 설정한 경우에 한함)
• 근무지 : 등록된 근무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요일을 시작으로 한 주가 계산됩니다.
스케줄 신청/배정 시, 근무시간 입력 가능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시, 근무 요일로 지정하지 않는 휴일이나 공휴일에 근무 스케줄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시, 스케줄이 '근무'로 배정된 날에만 출근 체크가 가능합니다. ‘소정 근무 일정’에서 설정한 출근 가능 시간대 이전에 출근 체크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에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스케줄 기능 설정에서 [초과근무시간 관리] 기능이 켜져 있어야 합니다. [초과근무시간 관리] 기능은 Standard 요금제 이상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페이지 상단에서 ‘임부’ 유형으로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만 [초과근무 관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한국 근로기준법에 따라 임부는 초과근무가 불가합니다.)
• 한 주에 근무는 최대 몇 시간까지 허용되나요? (초과근무 시간 포함)
한 주에 일반근무와 초과근무를 합쳐 최대 몇 시간까지 신청/배정 가능한지 설정합니다. 한국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통 52시간으로 설정합니다.
• 하루에 초과근무는 최대 몇 시간까지 허용되나요?
‘산부’ 정책으로 설정한 경우에만 설정합니다. 하루에 초과근무를 최대 몇 시간까지 신청/배정 가능한지 설정합니다.
• 한 주에 초과근무는 최대 몇 시간까지 허용되나요?
한 주에 초과근무를 최대 몇 시간까지 신청/배정 가능한지 설정합니다. 한국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통 12시간으로 설정합니다.
• 산부 기간 내 초과근무는 최대 몇 시간까지 허용되나요?
‘산부’ 정책으로 설정한 경우에만 설정합니다. 산부 기간 내에 초과근무를 최대 몇 시간까지 신청/배정 가능한지 설정합니다.
• 휴가일에 초과근무를 신청할 수 있나요?
‘아니오’로 설정 시, 휴가를 신청한 날에 초과근무를 신청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초과근무를 신청한 날에도 휴가를 신청할 수 없습니다.
•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스케줄이 배정된 경우, 초과된 시간만큼 초과근무로 자동 배정되나요?
‘아니오’로 설정 시, 소정/법정근로시간 초과해 근무를 배정하더라도 초과근무가 자동 배정되지 않습니다. ‘예’로 설정 시, 통상 근무/단시간 근무 설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초과근무를 자동 배정합니다.
- 통상 근무 : 소정근로시간과 법정근로시간 중 더 긴 시간을 초과하는 근무 시간이 자동으로 초과근무로 배정됩니다. 즉, 법내 연장 근무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 단시간 근무 :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는 근무 시간이 자동으로 초과근무로 배정됩니다. 즉, 법내 연장 근무를 배정합니다.
페이지 상단의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근무 정책이 저장되며 적용 대상 구성원을 설정하는 팝업이 노출됩니다. 단, 이미 회사 모든 직원이 특정 근무 정책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팝업이 노출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근무 정책 리스트에서 ‘구성원’ 컬럼을 선택해 [대상 구성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구성원 추가] 버튼을 선택하면 구성원 관리 페이지가 열립니다. 특정 구성원의 근무 정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적용 대상]을 설정하면 적용 대상 구성원이 추가될 때 해당 근무 정책이 자동 적용 됩니다.
• [일괄 적용]을 설정하면 기존의 모든 적용 대상 구성원에게 해당 근무 정책을 일괄 적용 합니다.
• [적용 중], [적용 예정] 탭에서 해당 근무 정책을 적용 중인/적용 예정인 구성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