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메인인사이트
인사이트

수사기관에 제출한 자료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직원 개인정보 공개 실수 3가지

2025-05-07

회사에서 인사·노무 업무를 하다 보면, 노동청 등 수사기관으로부터 자료 제출 요청을 받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협조 차원에서 자료를 제출했어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인사담당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직원 개인정보 공개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고발 자료에 포함된 개인정보가 ‘누설’이 될 수 있어요!

공익 목적이든 수사기관 요청이든, 동의 없이 타인의 개인정보를 넘기면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 제2항을 위반한 '누설'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수사기관은 영장 등 자체 절차를 통해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 자발적으로 제출할 필요는 없다는 게 대법원 판단입니다.

법원에 제출하는 자료도 예외가 될 순 없으며, 민사소송 중이라도 상대방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를 동의 없이 제출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 직원 개인정보 공개 시 주의사항 3가지 알아보기

협조 차원에서 제출한 자료여도 개인정보가 포함돼 있다면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예방하려면, 인사담당자는 다음 3가지 사항을 꼭 유의해야 합니다.

1) 제출 전, 개인정보 포함 여부 꼭 확인하기

제출하려는 자료에 개인정보가 들어 있지 않은지 먼저 점검해야 합니다.

공익 목적이어도 예외는 없기 때문에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자문받은 내용은 꼭 문서로 보관하기

사내 법무팀이나 변호사에게 자문을 받았더라도, 그 사실만으로는 책임을 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자문을 받았다면, 검토 의견서 등 객관적인 문서로 남겨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민감정보는 마스킹 처리 후 제출하기

주민번호, 주소, 계좌번호처럼 민감한 정보는 식별 후 마스킹하거나 비공개 처리한 뒤 제출해야 합니다.

어떤 목적이나 상황에서도 직원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를 제출하기 전엔 반드시 법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인사담당자는 직원 개인정보에 자주 접근하는 만큼, 작은 실수 하나로도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에서 자세히 확인해 보세요!

4대보험 징수를 위해 제출하는 자료도 개인정보 위반일까? >

간편해지는 직원 관리 알아보기 >
함께보면 좋은 글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30일 동안 모든 기능이 무료,
직접 사용해보고 결정하세요